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감염병입니다. 국내에서는 2014년 홍역 퇴치 인증을 받았지만, 해외 유입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여전히 경계를 늦출 수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은 바로 홍역 예방접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홍역 예방접종 시기, 비용, 병원 정보까지 꼼꼼히 정리하여 안내드리겠습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홍역 예방접종(MMR 백신)은 소아와 성인 모두 필수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접종 시기는 나이와 상황에 따라 다르며, 특히 해외여행 예정자나 의료 종사자는 추가 접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소아 예방접종 시기
소아는 생후 12~15개월에 MMR 백신 1차 접종을 실시합니다. 이후 만 4~6세에 2차 접종을 권장합니다.
만약 홍역이 유행하는 지역을 방문할 예정이라면, 생후 6개월 이후부터 가속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1차 및 2차 정규 접종을 다시 맞아야 합니다.
또한 의료기관 종사자나 해외 출국 예정자는 2차 접종을 4주 간격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성인 예방접종 시기
성인의 경우 출생 연도와 백신 접종 기록에 따라 권장사항이 다릅니다.
- 1968~1980년생: 항체 검사를 통해 면역 여부를 확인 후 필요한 경우 1회 추가 접종
- 1981년 이후 출생자: 접종 기록이 없으면 MMR 백신 2회 접종
- 홍역 유행 국가 방문 예정자: 출국 4~6주 전에 최소 1회 접종
참고로, 1967년 이전 출생자는 자연 면역을 보유하고 있어 접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홍역 예방접종 비용
MMR 백신 접종 비용은 접종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접종 기관 | 1회 비용 | 총 비용 (2회) |
보건소 | 2~3만 원 | 4~6만 원 |
일반 병·의원 | 3~5만 원 | 6~10만 원 |
대학병원 클리닉 | 4~6만 원 | 8~12만 원 |
만 12세 이하 소아는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으로, 지정 의료기관에서는 무료 접종이 가능합니다.
성인이라면 항체 검사 비용(약 3~5만 원)이 추가될 수 있으며, 세 가지 항목(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모두 검사할 경우 총 15만 원 정도가 들 수 있습니다.
또한, 1세 미만 소아의 경우에는 홍역 단독 백신을 선택적으로 접종할 수 있는데, 이때 비용은 약 2~3만 원입니다.
홍역 예방접종 병원 정보
홍역 예방접종은 크게 지정의료기관과 비지정의료기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지정의료기관
- 보건소: 소아 무료 접종 가능
- 위탁의료기관(소아과, 내과 등): 보건소와 동일한 혜택 제공
- 대형병원 예방접종 클리닉: 전문적인 백신 관리, 다만 비용은 다소 높을 수 있음
비지정의료기관
- 일반 병원: 접종 가능하지만 비용 전액 본인 부담
- 한방병원: 홍역 백신 접종 불가
접종 기관 검색 방법
가장 편리한 방법은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https://nip.kdca.go.kr) 또는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지역별 지정의료기관을 쉽게 검색할 수 있으며, 백신 종류 및 접종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앱은 푸시 알림 기능으로 접종 시기를 놓치지 않게 도와줍니다.
특별 상황별 접종 가이드
홍역 예방접종은 특정 상황에 따라 추가 지침이 필요합니다.
해외여행자
- 출국 4~6주 전: 1차 접종 권장 (최적)
- 출국 2~4주 전: 1차 접종 가능
- 출국 1~2주 전: 긴급 접종 가능
특히 홍역 유행 국가(베트남, 필리핀, 유럽 등)를 방문할 예정이라면 2차 접종까지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임신·수유 여성
- 임신 중: MMR 백신 접종 금지 (생백신 특성)
- 수유 중: 접종 가능하지만, 면역글로불린 투여를 받은 경우에는 일정 기간 접종을 연기해야 합니다.
면역저하자
- 면역결핍 환자: 접종 금기(예외: HIV 감염자는 면역 상태에 따라 접종 가능)
- 항암 치료 중 환자: 최근 3개월 내 항암제를 투여한 경우 접종 금지
접종 후 주의사항
- 부작용 관리: 접종 후 1~2주 이내에 발열, 발진, 근육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즉시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 접종 증명서 발급: 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 또는 앱을 통해 접종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홍역 의심 증상 발생 시 행동 수칙: 발진 발생 전후 4일 동안 다른 사람과 접촉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결론
홍역 예방은 철저한 백신 접종으로 가능합니다.
소아는 2회 접종, 성인은 1~2회 접종을 기본으로 하고, 해외여행이나 직업 특성에 따라 추가 접종을 고려해야 합니다.
비용은 접종 기관 및 항체 검사 여부에 따라 4~12만 원 선에서 발생하며, 지정의료기관을 이용하면 무료 또는 저렴하게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도우미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 접종 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소아 및 성인 모두가 홍역으로부터 안전해질 수 있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대문구 주말 진료, 야간, 공휴일 진료 소아과 안내 (0) | 2025.04.29 |
---|---|
동작구 주말 및 심야 진료 소아과 안내 / 야간 진료 소아과 (0) | 2025.04.29 |
임신 초기 증상 총정리! 꼭 알아야 할 변화들 (0) | 2025.04.28 |
빈속에 비타민 먹어도 될까? 위장을 지키는 복용법 총정리 (0) | 2025.04.23 |
유산균과 비타민, 같이 먹으면 효과 있을까? 복용 순서 정리! (0) | 2025.04.23 |